鶹Ӱ

 

사안내

한국어와 한국문화

한국어와 한국문화

전공 소개

한국어와 한국문화 마이크로전공은 본교에서 수학하는 외국인 교환학생들에게 내실 있는 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신설되었다. 교육과정은 한국어 ѫ, 한국문화 탐사 ѫ, 한국문학 ѫ로 구성되어 있다. 추구하는 인재상은 ‘한국어와 한국문화에 대한 이해력을 갖춘 한국학 예비 전문가’이고 ‘한국어와 한글에 대한 이해력과 구사력’ 및 ‘한국의 사회와 문화에 대한 이해력과 친화력’을 핵심 역량으로 삼고 있다.

교육목표
인재상
  • 한국어와 한국문화에 대한 이해력을 갖춘 한국학 예비 전문가

핵심 역량
  • 한국어와 한글에 대한 이해력과 구사력
  • 한국의 사회와 문화에 대한 이해력과 친화력
수강 대상
  • 외국인 교환학생 (외국인 학위 과정 유학생 참여 가능)

    외국인 학생(학부과정, 교환학생 등)만 신청 가능

이수점
  • 총 점 : 12 점
    • 교육과정별 필수 이수점 구성 현황
한국어와 한국문화 마이크로전공 필수 이수점 구성 현황
구분 전공 (소계 : 12) 비고
마이크로전공ѫ 마이크로전공선택
마이크로 전공 - 12 전공필수는 없으나 ѫ별 필수 이수 점 있음
table scroll image


  • 교육과정
    • 이수점 및 교과목
      • 최소 이수 점 수: 전공선택 8개 교과목 중 총 12점 이상 이수
        한국어와 한국문화 마이크로전공 이수점 및 교과목

        1기 2기
        한국어 ѫ
        (2과목 이상 수강 필수)
        한국어 어휘론 첫 만남, 실용 한국어 연습, 국어개론, 시사 한국어 한국어 문법론 첫 만남, 한글과 국어생활
        한국문화 탐사 ѫ
        (1과목 수강 필수)
        한국문화탐사 1 한국문화탐사 2
        table scroll image

      • 한국어 ѫ는 2과목 이상 수강하여야 하고 한국문화 탐사 ѫ는 1과목을 반드시 수강하여야 함. 단, 국어국문과와 한국학 전공의 아래 과목(한국문화 ѫ)은 1과목까지 인정함
        한국어와 한국문화 마이크로전공 이수점 및 교과목

        1기 2기
        국어국문과 한국고전문학 첫 만남, 한국현대문학 첫 만남, 한국문학과 영화 한국의 명문 읽기, 한국문학과 문화콘텐츠, 한국가요와 한국문화
        한국학 전공
        (국제부)
        한국의 정치와 경제, 국사이, 국세미나 국입문, 한국의 사회와 문화, 한류의 이해
        table scroll image
교육과정
  • 필수 수강 과목(한국어 ѫ 2과목 이상, 한국문화 탐사 ѫ 1과목)
 마이크로전공 교육과정
교과목명 선택 이수구분 갵ӄ과 ѫ
한국어 어휘론 첫 만남 2과목 이상 수강 필수 전공선택 3 국어국문과 한국어 ѫ
국어개론 전공선택 3 국어국문과
실용국연습 전공선택 3 국어국문과
한국어 문법론 첫 만남 전공선택 3 국어국문과
한글과 국어생활 전공선택 3 국어국문과
싵ӂ국 전공선택 3 한국학전공(국제부)
한국문화탐사 1 1과목 수강 필수 전공선택 3 국어국문과 한국문화탐사 ѫ
한국문화탐사 2 전공선택 3 국어국문과
table scroll image


  • 한국문화 ѫ (1과목까지 수강할 수 있는 과목)
 마이크로전공 교육과정
교과목명 선택 이수구분 갵ӄ과 ѫ
한국 고전문학 첫 만남
전공선택 3 국어국문과 한국문화 ѫ
한국 현대문학 첫 만남
전공선택 3 국어국문과
한국문학과 영화
전공선택 3 국어국문과
한국의 명문 읽기
전공선택 3 국어국문과
한국문학과 문화콘텐츠
전공선택 3 국어국문과
한국가요와 한국문화
전공선택 3 국어국문과
한국의 정치와 경제
전공선택 3 한국학전공(국제부)
국사이
전공선택 3 한국학전공(국제부)
국세미나
전공선택 3 한국학전공(국제부)
국입문
전공선택 3 한국학전공(국제부)
한국의 사회와 문화
전공선택 3 한국학전공(국제부)
한류의 이해
전공선택 3 한국학전공(국제부)
table scroll image